거래도 시세 표현과 마찬가지로 주식시장, 채권시장, 외환시장 어디서든 다 혼용해서 쓰일 수 있습니다.

 

매수: '매수'는 금융상품(주식, 채권, 외환 등)을 사는 행위를 말하는데, '매입'이라고도 표현합니다. 일련의 일정한 흐름이나 힘이 붙으면 '매수세'라고 하며, 금융상품이 저평가될 때 사는 행위는 '저점매수' 혹은 '저가매수'라고 합니다. 저점매수는 상품 가치가 가장 쌀 때 사는 것으로 탁월한 투자방법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ex) "연말연시 단가조정, 절호의 저점매수 기회"

매도: '매도'는 금융상품을 파는 행위를 말합니다. 일련의 일정한 흐름이나 힘이 붙으면 '매도세'라고 표현하며, 금융상품이 고평가될 때 파는 행위를 '고점매도'라고 합니다. 고점매도 역시 상품이 가장 비쌀 때 파는 것으로 탁월한 투자방법입니다.

ex) "NHN 임원들 자사주 고점매도"

순매수 & 순매도: 일정 기준으로 매수의 총량을 앞서는 것을 '순매수'라고 합니다. 매매는 매수와 매도의 집합이므로 시장 전체를 놓고 보면 순매수와 순매도는 언제나 동일합니다. 따라서 순매수와 순매도를 볼 때는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ex)'기관 순매수'라고 하면 기관투자자들을 기준으로 매수의 총량이 매도의 총량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순매도'는 일정 기준으로 매도의 총량이 매수의 총량을 앞서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ex) '외국인 순매도'라고 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가 매수보다 앞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외국인, 국채선물 9일째 순매도"

매집: '매집'은 매수처럼 금융상품을 사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매집은 사는 것의 일반적인 의미가 아니라,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대상 금융상품을 집중적으로 사는 것을 의미할 때 쓰입니다. 의도성과 집중성의 뉘앙스를 품는 매수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ex) "삼성전자, 외국인 매집에 상승"

투매: '투매'는 대상 금융상품의 가치가 폭락할 것으로 예상되어 미리 상품을 매도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ex) "미 증시, 금융주 투매로 급락.... 다우 2.96% 감소"

 

 

주식을 사고 팔아야 할까요?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 친구에게 자문을 구해야 할까요?

 

 

롱포지션: '롱 포지션(long position)'은 대상 금융상품의 가치가 상승할 것에 대한 기대로 상품을 매수하는 행위나 그 상태를 의미합니다. 각 시장마다 디테일한 의미가 다르지만, 일단 '롱'이 들어가면 매수에 포함됩니다. '롱 마인드' 혹은 '롱 심리'는 매수 심리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ex) "전문가, 원/달러 롱 포지션 우세 전망"

숏포지션: '숏 포지션(short position)'은 금융상품을 매도하는 행위나 그 상태를 의미합니다. 대상 금융상품의 가치가 하락할 것을 예상하여 대비하는 포지션입니다. '숏'이 들어가면 '매도'를 의미하고, '숏 마인드'는 매도 심리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ex) "세계경기 낙관론 5년 내 최고 ..... 숏 포시션 사라져"

손절매: '손절매(losscut)'는 현재 가지고 있는 금융상품의 가치가 더욱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여 그 상품의 가치가 회복되기를 기대하기 보다 향후 상황이 더 안 좋아지기 전에 과감하게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사에는 영어 발음 그대로 '로스컷'이라고 하며, 매수를 멈춘다는 의미로 '롱스탑(long stop)'이라고 합니다.

ex) "개인 투자자 미련 때문에..... 손절매 못해"

헤지: '헤지(hedge)'는 금융상품의 리스크(위험), 즉 예상치 못한 상태에서 가격이 변함으로써 발생하는 위험을 제거하는 행위입니다. '산울타리'라는 단어의 뜻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ex) "불안한 증시, 파생상품으로 헤지해 볼까?"

 


 

※ 오늘도 쉽고 재밌게 주식용어 공부를 통해 '거래에 관련된 용어'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다음 포스트에서는 "주식의 유래와 무엇인가?"라는 주제를 더욱 세부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3) 흐름에 변화가 생겼을 때

일관된 흐름에 변화가 있을 때는 다음과 같은 용어들이 사용됩니다.

확대: 일정한 추세가 강화될 때 '확대'라고 표현합니다.

ex) 아파트 값이 3년째 계속 상승했다면 '아파트 상승세 확대'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축소: 일정한 추세가 약화될 때 '축소'라고 표현합니다.

ex) 주가가 오전에는 기관들의 주식 매수로 상승세를 이어갔는데, 오후 들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로 인해 소폭 하락했을 경우, "주가, 상승세 축소"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등: 일정한 하락세가 꺾이는 순간을 '반등'이라고 표현합니다.

ex) 유가가 5일 동안 계속해서 하락하다가 오늘 상승했다면 "유가, 엿새 만에 반등, 배럴당 70달러"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락: 일정한 상승세가 꺾이는 순간을 '반락'이라고 표현합니다.

ex) 채권 가격이 5일 동안 계속해서 상승하다가 오늘 하락했다면 "채권값이 엿새 만에 반락, 외국인 매도 전환"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조정: 과도하다고 여겨지는 추세가 적정 수준으로 되돌아갈 때 '조정'을 받았다고 표현합니다.

ex) 주가가 10일 연속 상승하다가 이틀 정도로 소폭 하락 했을때, "주가, 이틀째 조정"이라고 표현합니다.

오버슈팅: '오버슈팅'은 갑작스러운 이상 급등이나 급락을 말합니다. 장시간에 걸쳐 시장에 형성된 평균을 과도하게 넘어서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오버슈팅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시장 평균으로 돌아오는데 이를 '오버슈팅 되돌림'이라고 말합니다.

ex) 환율이 1,500원까지 급등했다가 계속해서 급락하면 "환율, 오버슈팅 되돌림 중"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 증권 환율시장 메인 화면, 2019년 10월 03일 기준)

 

 

4) 시세의 방향성이 제한되는 경우

경제적 변수나 지수의 기술적 변수에 의해 시세의 방향성이 제한될 때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상방경직성: 지수의 상승세가 변수에 막혀 지속될 수 없는 경우 '상방경직성'이라고 합니다. 주로 지수의 기술적 분석인 저항선과 함께 쓰입니다.

저항선은 주가의 상승이 저항을 받는 주가지수선을 의미합니다.

하방경직성: 지수의 하락세가 변수에 막혀 지속될 수 없는 경우 '하방경직성'이라고 합니다. 주로 지수의 기술적인 분석인 지지선과 함께 쓰입니다.

지지선은 주가의 하락이 지지하는 주가지수선을 의미합니다.

지금까지 시세에 관련된 표현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식 시장상황 및 경제기사를 읽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표현을 기준으로 설명해 보았습니다.

 


 

※ 오늘도 쉽고 재밌게 주식용어 공부를 통해 '시세에 관련된 용어'시리즈를 마쳤습니다 . 다음 포스트에서는 주식 거래에 관련된 용어들을 더욱 세부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주식공부 #주식용어공부 #주식초보 #주식투자 #경제공부 #금융공부 #쉽고재밌게공부 #공부정리 #네이버증권 #해외지수 #코스닥 #코스피

네이버 금융

 

※ 시세

 

시세란 시가와 같은 말로 그 당시의 가격을 말합니다. 시세에 관련된 용어는 주식시장으로만 한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채권, 환율, 원자재, 유가, 금리 등 시장을 통해 시세가 형성되면 어느 분야라 할 것 없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 금융 시세정보

 

 

 

1) 현재의 시점에서 시세를 설명할 때

상승: 전날(전장)에 비해 시세가 오르면 '상승' 했다고 표현합니다. 보통 2% 미만의 상승을 말합니다.

하락: 전날(전장)에 비해 시세가 내리면 '하락' 했다고 합니다. 보통 2% 미만의 하락을 말합니다. 하락을 나타내는 표현은 상승보다 더 다양합니다.

ex) "다우지수가 하락했다", "다우지수 내렸다", "다우지수가 밀렸다", 다우지수가 떨어졌다"

급등: 전날(전장)에 비해 시세가 보통 2~4%대까지 상승할 때 '급등'이라고 합니다.

급락: 전날(전장)에 비해 시세가 보통 2~4%까지 하락할 때 '급락'이라고 합니다.

폭등: 전날(전장)에 비해 시세가 보통 5% 이상 상승할 때 '폭등'이라고 합니다.

폭락: 전날(전장)에 비해 시세가 보통 5% 이상 하락할 때 '폭락'이라고 합니다.

급. 등락과 폭. 등락 사이의 기준이 5%인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이고, 정해진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신문, TV 등의 매체에서는 기자들의 의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급. 등락보다는 폭. 등락이 더 과도한 변동성을 표현하는 것은 거의 똑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전날에 비해 시세가 거의 변화가 없을 때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보합: 전날(전장)에 비해 시세의 변동이 거의 없는 경우 '보합'이라고 합니다.

강보합: 전날(전장)에 비해 시세의 변화가 거의 없지만 약간 상승했을 때는 '강보합'이라고 합니다.

ex) "유가 배럴당 79달러 강보합, 2달러 올라"라는 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약보합: 전날(전장)에 비해 시세 변화가 거의 없지만 약간 하락했을 때는 '약보합'이라고 합니다.

ex) "유가 배럴당 75달러 약보합, 2달러 내려"라는 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일관된 흐름을 설명할 때

일정하게 지속된 흐름을 표현할 때는 앞의 표현들에 보통 '~세'를 붙입니다. 이를 '추세'라고 하며, 경제기사에는 '모멘텀(momentum)'이라는 말도 자주 쓰입니다. 예를 들면 상승세, 하락세, 강세, 약세, 급등세, 급락세, 폭등세, 폭락세, 보합세 등으로 표현합니다.

추세의 경우는 일정의 흐름을 표현하는 것이므로 앞서 설명한 현재 시점에서의 시세 표현처럼 % 등락폭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체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시세의 흐름이 완만히 상승하면 '상승세' 혹은 '강세'라고 표현하고, 과도하게 오르면 '급등세' 혹은 '폭등세'라고 표현합니다.

반대로 완만히 하락하면 '하락세' 혹은 '약세'락 표현하고, 크게 하락하면 '급락세' 혹은 '폭락세'라고 표현합니다. 또 큰 변화가 없는 시세의 흐름을 보인다면 '보합세'라고 말합니다.


 

※ 오늘도 쉽고 재밌게 주식용어 공부를 통해 '시세에 관련된 용어'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다음 포스트에서는 시세에 변화가 생기고, 방향성이 제한되는 경우에 관한 용어들을 더욱 세부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주식공부 #주식용어공부 #주식초보 #주식투자 #경제공부 #금융공부 #쉽고재밌게공부 #공부정리 #네이버증권 #해외지수 #코스닥 #코스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