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적으로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도 앞서서 무언가를 진행한다는 것입니다. 미래에 할 것을 지금 먼저 하는 것이 바로 선도입니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표현하자면, 선도란 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특정 상품을 서로 매매하기로 현재 시점에 약속을 하는 계약입니다.

 

대표적인 선도거래는 일명 '밭떼기'의 예를 들 수 있습니다. 밭떼기는 조금 도시에 사시는 분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일수도 있습니다. 밭떼기란 김장철 배추 수요에 대비해 배추 도매상이 배추 재배농가로부터 미리 배추밭의 모든 배추를 사들이기로 약속하는 계약입니다. 배추 도매상이 배추 수확 3개원 전에 농부가 재배하고 있는 배추밭의 모든 배추를 포기당 약 5,000원에 사기로 미리 사기로 계약을 한다고 하면, 이는 바로 '선도거래'입니다.

 

이때 3개월 후의 배추가격은 현재 배추 가격, 예년의 배추 가격 변동폭, 3개월이라는 시간변수 등을 감안하여 결정됩니다. 이러한 선도거래는 후진 농업국가에서 대지주와 소작농 간에 주로 이루어져 사회적인 문제로도 논란이 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작농들은 농작물을 추수하기 전에 현금이 바닥나는 상황을 맞이합니다. 그래서 소작농들은 생계를 위하여 추수 전에 현금을 융통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소작농들의 니즈를 정확하게 꽤뚫고 있는 대지주들은 소작농들에게 귀에 솔깃한 제안을 던집니다. 밭에서 자라는 농작물을 미리 사주겠으니, 대신 싼 값에 넘기라는 제안을 합니다. 당장 소작농들은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밭에서 자라는 농작물을 대지주에게 미리 헐값에 팔고 현금을 받아 생계를 이어가게 됩니다.

 

(당장에 소작농들은 수중에 현금이 필요하니 이러한 불합리한 조건에 응하여 농작물을 헐값에 넘기는 것입니다.)

 

추수철이 되면 대지주는 헐값에 구입한 농작물을 소작농에게 오히려 더 비싸게 되팝니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 몇년이상 반복되면, 소작농들은 결국 작은 농지마저 대지주에게 팔 수밖에 없게 되고, 돈과 농지는 일부 대지주에게만 집중되며 빈부격차가 심해지는 사회적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본래 선도거래를 포함한 파생상품 거래의 가장 중용한 목적은 리스크 헤지(위험 회피)인데, 선도거래의 목적이 '돈 벌기'가 되면서 엄청나게 사회적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 것입니다. 돈을 버는 사람이 있다면, 반대편에는 항상 누군가 돈을 잃고 있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그러면 '선물(future)'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지 생각해보셨나요? 보통 재미는 없겠지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받는 생일 선물, 크리스마스 선물 등등을 의미하는 선물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으실거란 생각도 듭니다. 선물 또한 선도와 마찬가지로 미리 거래를 하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약속한 조건 (품목, 가격, 수량)에 따라 미래에 줄 선물(Present)을 지금 미리 결정했다면, 선물(futures)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선물거래는 선도거래와 똑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선물거래가 선도거래보다 '표준화'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선물과 선도의 차이는 다음 4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1) 선물은 거래되는 시장이 정해져 있습니다. 즉 거래소 시장에서 거래가 되는 것입니다.

선도거래는 장외시장 (OTC, Over the Counter Market)에서 양 당사자 간에 이루어집니다.

선물거래는 거래소 시장에서 다자 간에 거래가 됩니다. 선도시장은 생소하겠지만, 선물시장은 어디서 한 번쯤은 들어본 개념이기도 할 것입니다.

 

2) 선물은 계약단위와 계약만기가 정해져 있습니다. 즉 표준화가 되어있다는 얘기입니다. 우리나라 주식 선물시장의

경우, 계약단위는 50만 원, 계약만기는 매 분기말(3,6,9,12월)의 2 번째 목요일입니다. 하지만 선도는 계약단위와 계약

만기를 당사자 간에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선물은 매일 매일 정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선물거래는 계약 불이행 위험이 없으나, 만기에 한 번 정산하는 선도거래는 계약 불이행이라는 불확실성과 위험이 존재합니다. 선도거래는 만기에 '배째라, 안 사겠다(or 혹은 안팔겠다!). '라고

하면 답도 없고 방법도 없습니다.

 

4) 선물거래는 표준화되어 있어, 당사자들의 모든 니즈에 부합되는 거래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선도거래는 어떠한 기초자산에 대해서도 당사자들이 원하는 맞춤형 거래가 가능합니다.

 

(즉 쉽게 말해서 Customized, 즉 개인이 원하는 거래를 입 맛대로 맞추어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컴퓨터공학 #금융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금융공부 #금융수학 #선물거래 #선도거래

 

'컴퓨터공학 #금융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금융공학이란무엇인가? #금융공부 #파생상품' 태그의 글 목록

 

studyenthusiast-26.tistory.com

 

 


 

그림 1

 

1) 비행기

 

- 위의 그림은 고익(high wing) 비행기의 주요 구성품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체(airframe)는 동체(fuselage), 날개(wing), 꼬리날개(Empennag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승강타는 비행기의 피치를 조정 혹은 통제하는데 사용되며, 비행기의 조종간 (휠 혹은 스틱)에 연결되어 전. 후 조종 운동으로 움직입니다. 일부 비행기에서 전체 수평 안정판이 그림 2에서 보는 것과 같은 승강 타이며, 이를 스테빌레이터(stabilator)라고 불립니다.

방향타는 작은 방향 변화와 선회를 하는데 사용됩니다. 바닥에 있는 두 페달로 방향타를 작동하며 방향 조종을 제공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림 2

 

 

대부분의 비행기는 승강타의 뒷전에 작은 경첩부가 있으며, 종종 방향타에 있는 경첨부를 트림탭(Trim Tab)이라고 부릅니다. (그림 2 참조)

이러한 탭들은 조종면을 조종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트림탭의 목적은 조종사가 원하는 비행고도를 유지하기 위해 요크(yoke)라고 부르는 조종간에 필요한 힘을 줄이는 것입니다.

대부분 최신 비행기는 동체 위 혹은 아래에 날개를 장착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든 고익 비행기는 스트러트(지주: Strut)에 의해 지지되는 날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트러트(지주)는 더 많은 항력이라는 대가를 지불하지만 날개를 가볍게 해줍니다. 날개의 바깥쪽 뒷전에 있는 가동면을 보조익(aileron)이라고하며 옆놀이(놀) 제어에 사용됩니다. 이들은 조종간을 회전시켜 작동하거나 조종간(스틱)의 좌우 운동으로 작동됩니다. 보조익은 하나가 위로 진동할 때 다른 하나가 아래로 진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습니다.

날개 뒷전의 선외부에 있는 경첩부를 플랩(flaps)이라고 합니다. 플랩은 저속으로 더 많은 양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고 착륙하는데 증가된 항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렇게 증가된 항력이 비행기의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며 착륙 진입각을 더 가파르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줍니다.

소형 비행기는 2 가지의 형상의 착륙 장치(랜딩기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트라이 사이클 착륙 장치(tricycle landing gear)는 주 착륙 장치(main landing gear)가 비행기 평형 중심 바로 아래에 있으며 조종 가능한 앞바퀴(nose gear)가 위 전방에 있습니다. 테일 드래거(tail dragger)는 평형 중심의 전방에 주 착륙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작은 조종 가능한 바퀴(Wheel)가 꼬리날개에 있습니다. 앞바퀴와 뒷바퀴(Tail gear)는 방향타 페달로 조종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의 구성 요소

※ 항공기의 주요 구성요소

1) 동체(주 몸체)

2) 날개(양력 제공)

3) 미익부(꼬리날개 어셈블리)

※ 보조익

1) 날개의 선외 뒷전에 위치한 가동 조종면

2)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인다.

3) 세로축에 대한 롤(옆놀이) 제어장치

※ 수직 및 수평 안정판

- 꼬리 날개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는 고정면

※ 방향타(Rudder)

1) 수직 안정판의 뒷전에 있는 가동 조종면

2) 수직축에 대한 요(빗놀이) 제어장치

※ 승강타(Elevator)

1) 수평 안정판의 뒷전에 위치한 가동 조종면

2) 가로축에 대한 피치(키놀이) 제어장치

※ 트림탭(Trim Tabs)

1) 조종면의 뒷전에 부착

2) 조종사가 필요한 조종력을 감소시켜 항공기의 조종을 돕는다.

 

 

 

#항공산업 #항공우주공학 #기계공학 #항공기용어 #비행기 #항공기구성요소 #어렵다 #공학도의길 #공대감성

 

금융공학 공부를 이제 막 시작하는 분들은 기초통계학에 대한 개념만 이해하면 공부를 하는데 있어서 수월합니다.

금융공학 공부를 하기 위해서 알아두어야 할 기초통계학 개념은 평균, 분산, 표준편차, 베르누이 시행, 이항분포,정규분포, 브라운 운동 등이 있습니다.

 

그럼 통계학의 기초 중에 기초라고 할 수 있는 평균, 분산, 표준편차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서울대학교 금융공학개론 수강생들 중 1학년 학생들 (5명)의 중간고사 성적은 다음과 같다고 가정을 하겠습니다.

 

성적 평균

★ 점수 80, 84, 82, 86, 88 (이 학생들의 평균은 얼마일까요?)

 

(80 + 84 + 82 + 86 + 88) / 5 = 84점입니다. 여기까지 해결하는 과정과 해결방법은 쉽습니다.

 

그렇다면 분산은 얼마일까요? 분산의 개념에 대하여 헷갈리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 있을 것입니다.

 

사례에서의 분산은 학생들의 점수가 평균점수로부터 어느 정도 흩어져 있는가를 나타내주는 지표입니다. 각 학생들의 점수와 평균점수의 차를 제곱해 다 더한 값을 평균한 값이 바로 분산입니다.

 

{ (84-80)^2 + (84-84)^2 + (84-82)^2 + (84-86)^2 + (84-88)^2 } / 5 = 8

 

즉 분산은 약 8가 됩니다. 분산을 구했다면 표준편차를 구하는 방법도 어렵지 않습니다. 표준편차는 분산의 제곱근이기 때문입니다. 8의 제곱근은 √8이며, √8 (혹은 2√2)이 바로 학생들 성적 표준편차가 되는 것입니다.

 

표준편차는 금융공학에서 굉장히 중요한 개념입니다. 왜냐하면 표준편차는 바로 기초자산 가격의 변동성(Volatility)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변동성은 파생상품 중에서 특히 옵션의 가격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입니다. (콜옵션이든 풋옵션이든 변동성이 커질수록 옵션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여기까지 설명을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면 기본적인 통계학 지식은 갖추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다루었던 평균, 분산, 표준편차와 다르게 베르누이 시행, 이항분표, 정규분포, 브라운 운동 등은 이름만 들어도 흰 머리가 저절로 나는 개념들 일 것입니다. 하지만 핵심만 이해하여 어떻게 응용되는지 안다면, 금융공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어려울 것도 없습니다.

 


 

 

※ 베르누이 시행

 

예를 들면 베르누이 시행은 일명 '모 아니면 도'와 같은 것입니다. 즉 결과값이 딱 두 가지밖에 없으므로, 각 결과값이 나올 확률은 1/2(50%)가 되는 것입니다. 마치 동전을 던졌을 때, 앞면이 나올 확률과 뒷면이 나올 확률이 똑같이 1/2(50%) 인 것이랑 똑같은 개념입니다.

 


 

 

Binomial Distribution

※ 이항분포

 

그러면 이항분포는 또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을까요?

이항은 말 그대로 두 개의 항을 의미합니다. '이것 아니면 저것인 분포'라는 말입니다. '이것 아니면 저것' (앞면 아니면 뒷면)은 베르누이 시행과 같습니다. 즉 베르누이 시행을 여러 번 반복 시행해서 나타난 분포가 바로 '이항분포'입니다.

 

 


 

Normal Distribution

※ 정규분포

 

정규분포는 이항분포랑 비슷해 보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같은 분포의 범주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이항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의 시행 횟수를 무한정 반복하면 (즉 베르누이 시행을 무한정 반복하면) 바로 정규분포가 됩니다. 정규분포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분포입니다. 가운데가 볼록하고 좌우가 대칭인 반듯한 산 모양의 분포가 바로 정규분포입니다.

 


 

 

 

브라운 운동 (주식시장 적용 예)

※ 브라운 운동

 

정규분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 바로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입니다. 브라운 운동은 원래 물리학에서 나온 개념입니다. 물리학에서는 작은 입자의 불규칙한 운동을 브라운 운동이라고 부릅니다. 금융공학에서의 브라운 운동은 정규분포하고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시간의 개념이 포함된 정규분포를 브라운 운동이라고 합니다. 주식가격을 예로 들자면, 주식가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데 특정한 두 시점 간의 주식가격 차이는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입니다. 이럴 경우,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주식가격의 변화도 커진다는 것이 브라운 운동의 핵심입니다.

 

상식적으로 이해해도 시간의 간격이 길어진다 가정하였을때 주식가격의 변화 가능성은 커집니다. 왜냐하면 주가지수는 경제를 기반으로 계속 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간이 길어지면 불확실성과 변동성은 커지기 마련입니다. 결국 아주 간단한 얘기를 복잡하게 표현한 것이 바로 브라운 운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하게 보이는 브라운 운동을 이해한다면, 나중에 설명하게 될 옵션가격 결정 이론인 블랙숄즈 모형을 쉽게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것입니다. 평균, 분산, 표준편차의 개념과 공식을 완전히 숙지했고, 베르누이 시행, 이항분포,정규분포, 브라운 운동 등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했다면, 본격적인 금융공학 공부에 필요한 통계학적 기초를 충분히 갖추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컴퓨터공학 #금융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금융공부 #금융수학 #기초통계학 #평균 #분산 #표준편차 #베르누이시행 #이항분포 #정규분포 #브라운운동

 

'컴퓨터공학 #금융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금융공학이란무엇인가? #금융공부 #파생상품' 태그의 글 목록

 

studyenthusiast-26.tistory.com

[

'컴퓨터공학 #금융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금융공학이란무엇인가? #금융공부 #파생상품' 태그의 글 목록

 

배당 Dividend

2) 배당금 정보 용어

* Dividend History: 배당 히스토리

* Declare Date: 배당 발표일(이사회에서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한 날)

* Ex-Div Date: 배당락 기준일

* Record Date: 주주명부 확정일

* Pay Date: 배당급 지급일

* Frequency: 배당주기

* Amount: 배당금

* Adj. Amount: 주식분할 조정 배당금. 주식분할까지 반영된 정확한 배당금을 말합니다.최근에 주식분할이 없었다면 배당금(Amount)과 주식분할 조정 배당금(Adj.Amount)는 동일합니다.

* Dividend Summary: 배당 요약

* Last Announced Dividend: 최근 배당금 공시 내역

* Dividend Yield(FWD) : 연간 예상 배당률

* Annual Payout (FWD) : 연간 예상 배당금

* Payout Ratio: 배당성향

* 5 Year Growth Rate: 최근 5년 연평균 배당금 인상률

* Dividend Growth : 배당금 연속 인상 연수​

 


※ 오늘도 쉽고 재밌게 미국 배당주 투자 용어 정리 공부를 통해 '미국 배당금 정보 용어'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Nasdaq 미국 장외주식 시장

 


1) 우선주 용어

* Preferred Stock: 우선주

* Series: 우선주 시리즈명

* Alternative symbology: 다른 형식의 종목코드로 'ticker'라고도 합니다.

(우선주는 조회 사이트별로 종목코드가 다릅니다.)

* Redeemable: 매입권리가 있는 우선주(Callable이라고도 합니다.)

*Call Date: 매입권리 발생 기준일

*Perpetual: 만기가 없는 우선주들을 'Perpetual Preferred stock"이라고 합니다.

*Cumulative: 누적적 우선주

* Non-Cumulative: 비누적적 우선주

* Shares Offered: 발생한 우선주 주식수

* Liquidation Preference: 매입 가격(매입권리가 행사될 경우 주주들에게 지불하는 가격. Call Price라고 합니다.)

*Premium to Liquidation Preference: 매입 가격(매입권리가 행사될 경우 주주들에게 지불하는 가격. Call Price라고도 합니다.)

* Premium to Liquidation Preference: 매입 가격(액면가) 대비 프리미엄

* Annualized Dividend: 연간 배당금

* Recent Ex-Date: 배당락 기준일

* Current Yield: 현재 배당률

* Original Coupon: 고정배당률

* Pay Period: 배당 주기

* Pay Dates: 배당 지급일

 


※ 오늘도 쉽고 재밌게 미국 배당주 투자 용어 정리 공부를 통해 '미국 우선주 용어'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다음 포스트에서는 "배당금 정보 용어"라는 주제를 더욱 세부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C언어는 4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4가지 특징은 구조화된 언어, 이식성, 확장성, 생산성 등이 있습니다.

1) C언어는 구조화된 언어이다

 

C 언어 이전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작업 단위가 구분되지 않고 단순히 나열된 형식이었습니다. 자신이 이전에 작성한 프로그램과 비슷한 기능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 때에도 기존에 작업한 내용을 재사용하기 힘들었습니다. 그리하여 프로그램을 유지, 보수를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C언어는 일정한 단위로 명령들을 그룹으로 묶는 방법을 제공하며, C 언어로 만든 프로그램은 작업 단위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기존 프로그램에서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분리하기도 쉬워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재사용하기에도 좋습니다.

2) C언어는 이식성이 높다

 

C 언어 이식성(Portability)이 높다는 말은 C 언어로 만든 프로그램을 거의 수정하지 않고 다른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제로가져갔을 때도 잘 동작한다는 뜻입니다. 이를 위해 하드웨어에 종속적일 수 있는 부분은 C 언어에서 분리해 런타임 라이브러리(Runtime Library)라는 개념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외부에서 구현한 것들을 C 언어가 가져다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이 런타임 라이브러리는 각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제별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사용자가 작성한 C 언어 프로그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즉 하드웨어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C 언어 문법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C 언어를 디자인한 것입니다.

4) C언어는 확장성이 좋고, 표현법이 다양해서  자기만의 표현법으로 개발이 가능하다

 

C 언어는 사용할 확률이 높은 문법만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사용 빈도가 낮은 문법은 사용자들이 스스로 구현하기 때문에 언어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언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표현법이 더 많고, 개발자가 개발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문법구조나 표현법이 다양하여 자율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다양한 표현법을 익히고 나면 다른 언어에서 사용할 수 없는 강력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C언어는 생산성이 높다

 

일부 초보 프로그래머들은 다른 고급 언어에 비해 C 언어의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초보자 입장에서 봤을 때 제품을 쉽게 개발할 수 있는 언어가 생산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생산성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것입니다. 생산성의 높고 낮음은 단순히 제품 개발 시간만 계산하여 따질 것이 아니라, 제품을 완성한 후 고객이 만족하고 문제가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까지의 시간도 계산에 넣어야 합니다.

C언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머들은 스스로 개발 인프라(명령 그룹, 함수)를 구축하기 때문에 경력이 쌓일수록 인프라가 다양해져서 프로그램 개발 속도가 빨라집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여러 가지 요구에 대해 스스로 대처할 수 있어서 프로그램의 완성도와 만족도가 더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 오늘은 C언어 프로그래밍에서 'C언어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 포스트는 학부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컴퓨터 공학 강의와 책들을 토대로 알기 쉽게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계속 더 유익하고 논문 및 전문 서적을 읽어가며 더 추가돼야 할 내용이 있으면 C 언어 프로그래밍 포스트와 콘텐츠들을 계속 고도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C언어는 저학년 때 컴퓨터공학 수업에서 꼭 듣고 가는 수업입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왜 C언어를 배우는지도 잘 모를 뿐만 아니라 보통 포인터 챕터에 들어가면 머리를 싸매고 어려워서 대부분 포기합니다.

앞으로 C언어를 보다 쉽게 공부를 정리하며 풀어가면서 조금 더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포스팅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C언어의 탄생 및 간단한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

벌써부터 노잼주의보 및 지루함이 느껴질 수도 있지만 아는 것과 모른 것의 차이는 격차가 나중에 커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역사 및 간단한 개요를 배우시면 나중에 다른 사람들 앞에서도 당당하게 소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 언어가 만들어진 과정과 특징을 알면 C 언어의 문법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C언어의 문법을 배우기 전에 간략하게 C언어의 역사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C언어의 탄생

데니스 리치와 켄 톰슨

 

1960년대 개발되었던 운영체제들은 하드웨어 종속적인 언어를 사용하여서 개발되었습니다. 따라서 하드웨어가 바뀌면 운영체제의 많은 부분을 디시 개발해야 했습니다. 벨 연구소의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와 켄 톰슨(Ken Thompson)은 이런 불편함을 없애고자 하드웨어가 변경되어도 프로그램을 다시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1970년에 켄 톰슨은 B 언어를 만들었지만, 이 언어도 하드웨어로부터 독립된 운영체제를 만드는 데 있어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1972년, 켄 톰슨은 데니스 리치와 함께 새로운 언어를 개발하였고, 이것이 바로 C언어입니다.

C언어는 하드웨어의 세밀한 부분까지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하드웨어를 직접 표현하지 않도록 문법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하드웨어에 독립된 형태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데니스 리치와 켄 톰슨은 C 언어를 90% 이상 사용하여 유닉스(UNIX)라는 운영체제를 만들었고, 유닉스는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동작할 수 있는 운영체제로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 오늘은 C언어 프로그래밍의 기초인 'C언어의 소개 및 개요'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 포스트는 학부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컴퓨터 공학 강의와 책들을 토대로 알기 쉽게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계속 더 유익하고 논문 및 전문 서적을 읽어가며 더 추가돼야 할 내용이 있으면 C 언어 프로그래밍 포스트와 콘텐츠들을 계속 고도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파생상품의 종류

 

금융공학에서 다루는 파생상품(Derivative)은 미래의 거래 조건을 지금 결정해야 하는 거래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1년 후에 거래할 어떤 상품의 수량과 가격을 현재 시점에 결정하는 것입니다. 왜 이러한 거래를 하는 걸까요?

 

 


 

Risk Indicator (리스크 측정도)

 

1. 미래에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거나 이를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전문 용어 위험이나 리스크를 헤지(hedge)라고 불릅니다. 주로 '리스크를 헤지한다.' 라고 표현합니다. 미래에 거래할 특정 상품의 수량과 가격을 지금 결정해놓으면, 그때까지 그것들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고 마음놓고 다른 일에 집중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주로 기업(증권사, IB, 원자재 가공, 거래 기업)들은 금융공학 기법을 활용해 향후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리스크를 헤지하고, 본업인 비즈니스에만 충실할 수 있도록 집중합니다. 따라서 금융공학은 미래에 대한 리스크나 변수(걱정과 근심)을 덜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금융공학을 통하여 미래의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론과 논리적인 수학적 사고를 배워갈 수 있습니다. 이것이 금융공학을 공부해야 하고 왜 실질적으로 필요한지 알려주는 가장 핵심적인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융공학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미리 대비하고 그에 따른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미래의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수익 상승 

 

2.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래에 발생할 거래에 대해 다른 사람들보다 빨리 더 정확하게 예측하고 판단을 내려 조금 더 빨리 움직인다면, 기회를 이용하여 남들 보다 더 많은 돈을 빠르게 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파생상품 거래는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이기 때문에, 돈을 잃는 사람 반대편에는 반드시 돈을 버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투자은행이나 헤지펀드와 같은 금융시장의 투자가들이 금융공학을 이용하여 돈을 벌고자 하는 대표적인 세력입니다.물론 돈을 한번에 많이 벌기 위해 선물이나 옵션과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개미투자자들도 많습니다.

Financial Engineering Domain (금융공학 도메인 영역)

 

보통 금융공학이란 단어의 학문은 수학, 공학, 재무학의 구분의 경계선이 애매하다고 느껴집니다. 그리고 수학을 기피하시는 분이라면 더욱 더 금융(수학) + 공학이란 단어조합이 더 눈에 돋보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금융공학이란 개념을 대학교 4학년 때 대학전공 수업에서 처음 들어보았습니다. 그 당시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고 투자은행 및 증권사에서 쓰이는 학문으로 이해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머신러닝, 딥러닝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알고리즘 트레이딩 분야에 대하여 호기심이 생겨서, 다시 금융공학에 대한 공부와 금융 전공 기초를 다시 확실히 공부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도대체 '금융공학'은 무엇을 가르치는 학문이고 어디에서 쓰이는지 쉽게 설명을 하겠습니다.

 

 

출처: 모교대학 강의 Financial Engineering (블랙 숄즈 공식)

 

먼저 금융공학 책을 펴면 각종 수식과 수학, 통계학적인 개념들이 써져있습니다. 금융공학(Financial Engineering)은 금융(Finance)과 공학(Engineering)이 합쳐진 융합의 학문입니다. 다만 공학에서는 주로 통계학과 수학적인 방법으로 문제에 접근을 합니다.

 

 

※ (통계학과 수학은 주로 과학 범주의 카테고리인데 공학으로 표현된 이유는 과학이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반면에, 공학은 현실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KAIST 금융공학 석사과정(참조)

 

그러므로 금융공학은 통계학과 수학을 통해 금융 시장에서 생기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학문입니다. 금융 시장에서 발생하게 되는 문제들은 대부분 파생상품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파생상품(Derivatives)은 일반적인 상품, 기초자산에서 파생된 상품입니다. 기초자산(Underlying Asset)은 주식, 채권,통화와 같은 금융상품 뿐만이 아니라, 농축수산물 같은 상품(Commodity)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파생상품에는 선도 선물(Futures), 옵션(Option), 스왑(Swap)등이 있습니다. 파생상품의 가치는 기초자산의 가치변동으로부터 파생되어 결정됩니다. 금융공학은 주로 이러한 파생상품들의 가격 결정과 다양한 파생상품의 개발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보통 우리가 인공지능이란 단어를 듣게 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아마 흔히 핸드폰에서 쓰이는 Apple의 시리(Siri)나 Samsung의 빅스비(Bixby) 등의 인공지능 비서가 떠오를 것입니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 능력, 지각 능력, 자연언어의 이해 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위에 언급한 시리, 빅스비와 대화할 때 아이폰, 갤럭시의 인공지능은 자연언어 처리를 통해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컴퓨터가 인식을 하게 됩니다. 여기서 자연 언어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뜻합니다. 그러면 컴퓨터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자연언어처리를 통해서 우리가 쓰는 언어를 인식하여 처리하게 됩니다. 시리 와 빅스비와 대화할 때처럼 음성을 인식하고 번역하고 정보를 처리하며, 마지막으로 음성을 모두 종합하여 분석 후에 사용자에게 대답을 주게 됩니다.

 


영국의 천재 앨런 튜링(Alan Turing)

 

그러면 서론에서 간단하게 인공지능에 대한 소개와 일상생활에서의 예를 들어보았습니다. 이제 컴퓨터가 인공지능을 갖추고 있는지 판별하는 실험인 앨런 튜링이 고안한 '튜링 테스트'에 대해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영국의 수학자, 논리학자인 앨런 튜링을 소개하면 그는 세계 2차 대전 때 독일군의 에니그마라는 암호기를 해독하여 연합군을 승리를 이끌었습니다. 1950년에 튜링은 [계산 기계와 지성 /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를 통해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튜링은 컴퓨터와 대화를 나누어서 컴퓨터의 반응을 인간과 구별할 수 없다면 해당 컴퓨터가 사고(인식, 판단 능력 기준) 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리고 50년 후에는 보통 사람으로 구성된 질문자들이 5분 동안 대화를 하며 컴퓨터의 진짜 정체를 알아낼 확률이 70%가 넘지 않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하지만 앨런 튜링은 이런 포괄적인 논리만 제시했을 뿐, 구체적인 실험 방법과 판별 기준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나중에 수대 과학자들이 그의 논리와 주장을 바탕으로 실험 방법을 고도화시켜 테스트화를 시키게 됩니다. 이 테스트는 앨런 튜링의 이름을 따 '튜링 테스트(Turing Test)'라고 불리게 됩니다.

튜링 테스트는 서로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 질의자가 인간과 컴퓨터가 정해진 시간 안에서 서로 질문과 응답을 하며 대화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컴퓨터가 전체 심판진 가운데 1/3(3분의 1) 이상을 속이면 그 컴퓨터는 사람의 사고를 기반한 인공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을 받게 됩니다.


◎ 개발자의 관점으로 봤을 때는 많은 심사원이 인간이라고 믿게 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이 목표이며, 심사원은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으며 이야기나 음악 감상을 듣는 등의 의견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튜링 테스트

 

튜링 테스트

 

챗봇의 역사 타임라인


튜링 테스트와 관해서 대표적인 예로 2 가지 시스템이 알려져 있습니다. 1966년 발표된 '일라이저(ELIZA)'와 1972년 발표된 '패리(PARRY)입니다.

일라이자(Eliza)= 사람과 채팅하는 프로그램 (1966)

 

조셉 와이젠바움이 발표한 일라이저는 당시 컴퓨터의 성능이 높지 않다는 배경 때문에 할 수 있는 작업이 한정돼 있었습니다. 거기서 규칙 베이스의 답변을 기본으로 한 시스템을 만듭니다. 질문 내용을 단어로 분석해 기계가 이미 알고 있는 단어가 있으면 그에 대해 답을 내놓는데, 모르는 것에 대한 내용은 "그 질문은 중요합니까?"라고 하는 등 인간이 일상적으로 자주 받아치는 말을 던져 인간다운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심리요법 치료사의 응답을 참고하였다고 합니다.

일라이저와 패리는 튜링 테스트에 합격하지는 못했지만 각각 30%, 50% 미만의 판정자가 잘못 판단했고, 결국 가까운 미래에 테스트에 합격하는 기계가 등장할 것이라는 말이 꾸준히 나왔습니다. 튜링 테스트에 시험하는 것은 '인간다운 행동'이기 때문에 모든 질문에 정답을 내놓을 필요 없이(인간이라도 그게 가능하다고 단정할 수 없고, 정답이 없는 종류의 질문도 많음) 인간을 모방하는 기술과 화술이 중요합니다.

 


 

※ 위에 실험 기준과 사람이 가지고 있는 사고를 모두 통합해 보았을 때 사람이 유리한 테스트입니다. 하지만 2014년 6월 영국 왕립협회가 실시한 튜링 테스트에서 영국의 레딩대학교가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 '유진 구스트만'이 처음으로 테스트를 통과하였습니다.

레딩대학교에서 발명한 컴퓨터 프로그램 유진 구스트만(Eugene Goostman)

 

유진 구스트만은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베셀로프와 우크라이나의 유진 뎀첸코가 개발한 슈퍼컴퓨터 '유진(Eugene)으로서 '우크라이나에 사는 13세 소년'이라는 설정으로 튜링 테스트에 도전했습니다. 튜링 박사 사후 60주년인 2014년 영국 레딩 대학에서 개최된 '튜링 테스트 2014'에서 5분 동안 튜링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33%의 판정자들이 기계라고 판단하지 못하여 첫 합격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반면에 '특이점(싱귤래리티)'을 제창한 레이 커즈와일을 비롯해 일부 전문가들은 이 합격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우크라이나에 사는 13세 소년'이라는 설정이라 영어가 능숙하지 않다는 전제를 깔았고, 시험 기간 5분은 너무 짧으며 실제로 인터넷을 이용해 유진과 대화를 해봤더니 대화의 맥락을 따라오지 못했다 등의 이유를 들며 유진이 컴퓨터가 아니라 단순한 '챗봇'이라고 주장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튜링 테스트에 대한 반론 의견을 설명한 포스트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기초] 중국어 방 / 튜링에 대한 반론

https://blog.naver.com/j767asde/221575226071


※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관점에서 보면 챗봇은 지성을 가지고 있다고까지는 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는 내용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얼버무리며 대답하는 식으로 인간답게 보이는 기법을 썼을 뿐이라는 의견을 자주 듣게 됩니다.

이 포스트는 학부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강의와 책들을 토대로 알기 쉽게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계속 더 유익하고 해당 논문 및 전문 서적을 읽어가며 더 추가돼야 할 내용이 있으면 인공지능 포스트와 콘텐츠들을 계속 고도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 Recent posts